본문 바로가기

객체지향 존재론

(133)
알바 노에: 오늘의 인용-다른 마음들의 존재 " 내가 강조하고 싶은 핵심은 어떤 사람이 실제로 의식이 있는 사람인가 아닌가 하는 질문은 우리의 믿음을 정당화하는 것에 관한 질문이기 이전에[...] 언제나 도덕적 질문이라는 점이다. 어떤 사람에게 마음이 있는지 없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것조차 그 사람과의 관계를 의문시하는 것..
매튜 데이비드 시걸: 오늘의 인용-탈인간중심주의 " 인간을 탈중심화하는 것[탈인간중심주의(anthrodecentrism)]은 어떠한가? 나는 그것을 전적으로 지지한다. 인간과 지구는 둘 다 움직이게 되었다. 우리는 더 이상 사물들의 고요한 중심에 있지 않다. 오히려 우리 자신들이 사물들이다. 나는 탈인간중심주의가 필연적으로 허무주의나 무신론..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관념들의 생태로서의 에토스 " 지금까지 여러 해 동안 나는 "텍스트는 무언가에 관한 것일 뿐 아니라, 무언가이기도 하다"는 테제를 전개하려고 노력했다. 텍스트, 표상, 그리고 기호들이 그저 무언가에 관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주의를 끌고자 노력할 때, 나는 표상, 텍스트, 기호, 그리고 기표들이, 동물 종들이 세..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객체들의 역동적 삶 " [...] 누군가가 세계는 객체들과 관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을 들을 때, 다른 사람들이 "존재하는 것은 객체가 아니라 오히려 과정들이야!" 또는 "존재하는 것은 객체가 아니라 오히려 사건들이야!"라고 외치는 것을 듣는 것은 이례적이지 않다. 나는 이런 반응들을 접하게 되..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에세이-객체지향 존재론의 생태적 의미 " [...] <<생태학적 사상(The Ecological Thought)>>의 저자인 모턴(Morton)은 만물의 상호의존성을 주장하는 반면에, 객체지향 존재론자들은 객체들이 모든 관계에서 물러서 있다고 주장한다. [...] 아무리 역설적으로 들릴지라도, 여러 측면에서 물러섬 테제에 대한 옹호는 [...] 그런 종류의..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에세이-사물의 중력 사물의 중력: 존재지도학 입문 The Gravity of Things: An Introduction to Onto-Cartography ―― 레비 브라이언트(Levi Bryant) 1916년에 아인슈타인은 일반 상대성 이론을 제안했다. 일반 상대성 이론은 중력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뉴턴은 중력이 어떻게..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세계의 취약성 " [...] 내가 관심이 있는 것은 실제로 객체들 또는 기계들이 아니라, 그것들이 다른 객체들 또는 기계들과 관계들을 맺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나고, 객체들이 어떻게 되고 어떻게 발달하는지이다. 나를 매혹시키는 것은 이런 관계적 생성이다[...]. 그러므로 내게 기계라는 개념은 출발점일 ..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안정성과 변화 " 이해해야 할 중요한 것은,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변화, 운동, 그리고 생성의 가능성이 아니라, 오히려 지속, 안정성, 내구성이라는 점이다. 비개연적인 것은 안정적인 존재자이지 엔트로피가 아니다. 안정성을 "자연적"이고 원초적인 것으로 전제하는 형이하(상)학에서 시작하면, 우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