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56) 썸네일형 리스트형 그레이엄 하먼 : 출판 소식 - 『사변적 실재론 입문(Speculative Realism : An Introduction)』 한국어판 출간 Graham Harman, 『Speculative Realism : An Introduction』 한국어판 출간 제가 번역한 그레이엄 하먼의 책 『Speculative Realism : An Introduction』(2018)이 『사변적 실재론 입문』이라는 제목으로 도서출판 에서 출간되었습니다. 상세한 관련 내용은 출판사 신간 소개 글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사변적 실재론을 소개하는 스티븐 샤비로의 글과 레비 브라이언트, 닉 스르닉 & 그레이엄 하먼이 편집한 『사변적 전회(Speculative Turn)』라는 모음집에 붙인 라는 소개글을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레이엄 하먼 : 브뤼노 라투르의 철학적 유산 - 브뤼노 라투르 : 근대성 망상 브뤼노 라투르 : 근대성 망상 Bruno Latour : The Delusions of Modernity 2022년 10월 11일 그레이엄 하먼(Graham Harman) -- 출처 : iai news 2022년 10월 9일에 사망한 프랑스의 선도적인 지식인 브뤼노 라투르는 근대 철학의 핵심 가정, 즉 인간 주체와 세계 사이 구분의 현존에 주요한 이의를 제기했다. 그 대신에 세계를 서로 상호작용하는 행위자들의 집합체로 간주하자는 라투르의 급진적인 제안은 과학, 정치 그리고 환경 위기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틀을 제공했다고 철학자이자 브뤼노 라투르의 지적 전기 작가인 그레이엄 하먼은 적는다. 2022년 10월 9일에 브뤼노 라투르가 암 투병 끝에 사망함으로써 세계는 그의 가장 깊은 공헌이 아직 잘 이해되지.. 이언 보고스트 : 출판 소식 - 『에일리언 현상학(Alien Phenomenology)』 한국어판 출간 Ian Bogost, 『Alien Phenomenology, or What It's Like to Be a Thing』 한국어판 출간 제가 번역한 이언 보고스트의 책 『Alien Phenomenology, or What It's Like to Be a Thing』(2012)이 『에일리언 현상학, 혹은 사물의 경험은 어떠한 것인가』라는 제목으로 도서출판 에서 출간되었습니다. 상세한 관련 내용은 출판사 신간 소개 글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언 보고스트가 어느 인터뷰에서 이 책과 관련하여 언급한 부분을 읽어 보시면 이 책의 취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레이엄 하먼 : 인터뷰 - 객체지향 건축은 존재하는가? 그레이엄 하먼 : 인터뷰 - 제로-형태, 제로-기능 Graham Harman Interview : Zero-Form, Zero-Function -- 출처 : Joseph Bedford, Is There an Object-Oriented Architecture? : Engaging Graham Harman (Bloomsbury, 2020), pp. 24~38. 제시카 레이놀즈 : 당신이 보기에 당신 자신의 철학이 다루고 있는 우리의 현재 역사적 국면의 문제들이 무엇이라고 말씀하시겠습니까? 그레이엄 하먼 : 모더니티로 알려진 기본적으로 관념론적인 시기 동안 출현한 세계에 관한 인간중심적 모형의 일반적인 붕괴가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기후변화는 인간중심주의가 도전받고 있는 사례에 대한 가장 눈에 띄는.. 이언 보고스트 : 인터뷰 - 에일리언 현상학에 관하여 이언 보고스트 : 인터뷰 Ian Bogost : The Interview [...] 1. 곧 출간될 책에서 당신은 이렇게 서술합니다. "[철학자]의 과업은 객체들의 흑색 잡음을 증폭함으로써 그 내부 물질들의 공명 주파수들이 확실히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윙윙거리게 만드는 것이다." 저는 왜 이런 만족인가라고 물음으로써 시작하리라 생각합니다. 달리 말해서 당신은 무엇 때문에 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었습니까? 저는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 존재론의 존재를 처음 깨달은 이후에 그것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때는 아마 《도구-존재(Tool-Being)》가 출판되기 반년 전이었을 겁니다. 저는 흥미를 갖고서 이 저작을 주시했는데(그것은 저의 첫 번째 저서 《단위조작(Unit Operations)》에서 무심코 ..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 : 출판 소식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한국어판 출간 Arjen Kleinherenbrink, 『Against Continuity :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한국어판 출간 제가 번역한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의 책 『Against Continuity :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2019)가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 연속성에 반대한다』라는 제목으로 도서출판 에서 출간되었습니다. 상세한 관련 내용은 출판사 신간 소개 글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가 에든버러 출판사 블로그에 자신의 이 책을 소개한 글을 읽어 보시면, 이 책의 취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 : 책 소개 글 - 질 들뢰즈 대 과정철학 질 들뢰즈 대 과정철학 Gilles Deleuze versus Process Philosophy ―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Arjen Kleinherenbrink) 모든 주요 철학자는 자신의 후기 저작에서 최초 이론을 다듬고 수정한다. 결국 철학은 결코 최종 형태로 정신에서 튀어나오지 않는다. 그런데 어느 철학자가 자신의 최초 입장에서 벗어나서 정말로 다른 별개의 저작을 저술하는 것을 보는 것은 훨씬 더 드물다. 그런 지적 개종의 유명한 사례에는 방향을 전환하는 마르틴 하이데거와 자신의 《논리철학 논고》를 퇴위시키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있다. 《연속성에 반대한다 :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에서 나는 질 들뢰즈가 또 하나의 그런 철학자라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결코 정통적 견해가 아니다. 지난 수십.. 그레이엄 하먼 : 출판 소식 - 『예술과 객체(Art and Objects)』 한국어판 출간 Graham Harman, 『Art and Objects』 한국어판 출간 제가 번역한 그레이엄 하먼의 책 『Art and Objects』(2020)가 『예술과 객체』라는 제목으로 도서출판 에서 출간되었습니다. 상세한 관련 내용은 출판사 신간 소개 글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레이엄 하먼이 폴리티 출판사 블로그에 자신의 이 책을 소개한 글과 와 가진 인터뷰에서 예술과 관련된 부분을 읽어 보시면, 이 책의 취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전 1 2 3 4 ··· 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