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주의

(79)
요한 존: 오늘의 에세이-"자연/본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자연"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리고 "인간 본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What Do We Mean by "Nature"? And What Do We Mean by "Human Nature"? ―― 요한 존(Yohan J. John) 지금까지 나는 항상 '자연'이라는 낱말과 관련된 문제를 품고 있었다. 그것은 다수의 서로 비정합적인 관념들을 가리키는 기표로서의..
스튜어트 카우프만: 오늘의 오피니언-과학이 환원적 유물론의 주술을 깰 필요가 있는 까닭 과학이 환원적 유물론의 주술을 깰 필요가 있는 까닭 Why science needs to break the spell of reductive materialism ―― 스튜어트 카우프만(Stuart Kauffman) 우리는 모두 우리의 근대 문명에서 무언가 대단히 부족하다고 감지한다. 그것은 영성의 부재인가? 부분적으로는. 우리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을 넘..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에세이-담론의 실재성 담론의 실재성 The Reality of Discourse ―― 레비 브라이언트(Levi Bryant) 몇 년 전에 내가 작성한 어떤 블로그 글에 대응하여 누군가가 이렇게 묻는다. 친애하는 브라이언트, 당신은 이미 <<욕망하는 식물(The Botany of Desire)>>이라는 마이클 폴란(Michael Pollan)의 책을 들은/읽은 적이 있을 것..
어슐러 굿이너프: 오늘의 인용-종교적 자연주의자는 누구인가? 종교적 자연주의자는 누구인가? Who is a Religious Naturalist? 종교적임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전통 종교들은 일반적으로 텍스트나 구술적 이야기에 기록된 핵심적 서사(미토스, 거대 서사)가 있다. 각 이야기에 대한 해석들은 미토스 속에 묻어 들어가 있고 성직자에 의..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에세이-주름과 소용돌이에 관하여 주름과 소용돌이에 관하여 Of Folds and Vortices ―― 레비 브라이언트(Levi Bryant) 텍스트의 시기와는 상이한 글쓰기의 시기가 존재한다. 텍스트는 하나의 사물이다. 텍스트는 세계 속에 놓여지게 되고, 일종의 자율성을 획득하게 되며, 독자적인 기계로서 세계 주위를 순환하는 하나의 기계이..
윌리엄 라지: 오늘의 강연-귀납 귀납 - 강연 2 Induction - Lecture 2 ―― 윌리엄 라지(William Large) 지난 주에 과학과 종교 사이의 차이에 관해 언급했다. 그것은 믿음과 사실 사이의 차이로 개념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렇지만, 사실이 무엇인지 더욱 더 탐구할수록, 과학적 탐구의 출발점으로서의 사실의 지위에 대해 ..
마시모 피글리우치: 오늘의 에세이-스토아적 달걀 스토아적 달걀 The Stoic Egg ―― 마시모 피글리우치(Massimo Pigliucci) [...] 이제, [...] 몇 가지 명백한 경고를 제시한다. 첫째, 이 주제에 관한 이전의 내 에세이의 독자가 신랄하게 물었듯이, 왜 굳이 통일된 철학적 체계를 발달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가? 생은 그런 종류의 것에 대해서 정말로 ..
이사벨 스탕제: 오늘의 에세이-코스모폴리틱스적 제안 코스모폴리틱스적 제안 The Cosmopolitical Proposal ―― 이사벨 스탕제(Isabelle Stengers) 우리는 무엇인지, 또는 무엇이어야 하는지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유를 불러 일으키려고 하는 하나의 제안, 즉 추리를 "감속"시킬 수 있고, 우리를 동원하는 문제와 상황들에 대한 약간 상이한 의식을 유발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