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자론

(6)
막시밀리안 쉴로스하우어: 우아함과 불가사의-양자 인터뷰2 - 오스트리아 양자물리학자 막시밀리안 쉴로스하우어(Maximilian Schlosshauer)가 편집한 이 책 <<우아함과 불가사의: 양자 인터뷰(Elegance and Enigma: The Quantum Interviews)>>에 대한 소개글을 이곳을 보라. - 첫번째 질문―"양자역학의 토대에 관한 관심을 처음으로 자극한 것은 무엇이었습니..
막시밀리안 쉴로스하우어: 우아함과 불가사의-양자 인터뷰1 - 오스트리아 양자물리학자 막시밀리안 쉴로스하우어(Maximilian Schlosshauer)가 편집한 이 책 <<우아함과 불가사의: 양자 인터뷰(Elegance and Enigma: The Quantum Interviews)>>―'우아함'과 '불가사의'라는 낱말들은 양자역학의 특징을 집약적으로 나타낸다―는, 부제가 말해주듯이, 양자론의 토..
제프리 바렛: 오늘의 에세이-양자 측정 문제와 에버렛 해석 ― 아래의 글은 미합중국 어바인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의 논리학 및 과학철학 교수인 제프리 A. 바렛(Jeffrey A. Barrett)이 양자역학에 대한 다세계 해석(many-worlds interpretation)을 최초로 제안한 휴 에버렛 3세(Hugh Everett III)와 관련하여 작성한 에세이 <양자 측정 문제와 에버렛 해석(The Quantum M..
티모시 모턴: 오늘의 인용-실재론적 양자론 "예를 들어, 결정 격자에 입사되는, 어떤 종류의 레이저에 의해 방출되는 두 개의 얽힌 광자를 생각하자. 두 광자 가운데 하나를 측정하기, 즉 편광시키기 전에는 그것들의 상태에 관해 전혀 모른다. 이것은, 측정하는 장치나 과정 또는 측정하는 인간이 측정받는 것보다 더 실재적이라는 ..
티모시 모턴: 오늘의 인용-양자 실재 "세상에는 양자론에 대한 세 가지 기본적인 해석이 있다. 관념론(idealism): 실재는 그것이 지각되는 한에 있어서 존재할 뿐이다. 상관주의(correlationism): 실재는 존재하지만, (인간적) 장비들에 의해 측정됨으로써 유의미하게 될 수 있을 뿐이다. 실재론(realism): 그것 자체로 유의미한 실질적..
크리스토퍼 푹스: 오피니언-양자론은 아무 '해석'도 필요하지 않다 - 아래 글은 양자물리학자 크리스토퍼 푹스(Christopher A. Fuchs)와 애셔 페레스(Asher Peres)가 미국 물리학회에서 출간하는 잡지인 <<피직스 투데이(Physics Today)>> 2000년 3월호 <오피니언(Opinion)>란에 실은 기고문을 옮겨 놓은 것이다. - 크리스토퍼 푹스는 현재 캐나다 워털루 시에 소재한 페리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