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554)
크리스 수나미: 성자와 시뮬레이터-보스트롬은 신의 존재를 증명했는가? 성자과 시뮬레이터: 보스트롬은 신의 존재를 증명했는가? Saints and Simulators: Did Bostrom Prove the Existence of God? ―― 크리스 수나미(Chris Sunami) 이 블로그 글은 『더 파셜리 이그재민드 라이프(the Partially Examined Life)』라는 블로그에 올릴 새로운 연재 글 "성자와 시뮬레이터"에 대한 서론인데, 이..
크레이그 힉크먼: 오늘의 서평-그레이엄 하먼: 만물 이론 그레이엄 하먼: 만물 이론 Graham Harman: A Theoy of Everything ―― 크레이그 힉크먼(Craig Hickman) "생각한다는 것은 세계의 하늘에 떠 있는 별처럼 어느 날 가만히 있는 단일한 사유에 스스로를 가둔다는 것이다." ――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ar) 마르틴 하이데거는 한 가지 생각을 하는 것, 한 ..
토머스 네일: 오늘의 에세이-자연은 연속적인가 아니면 이산적인가? 자연은 연속적인가 아니면 이산적인가? 원자론적 오류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Is nature continuous or discrete? How the atomist error was born? ―― 토머스 네일(Thomas Nail) 자연은 이산적이라는 근대적 관념은 고대 그리스의 원자론에서 비롯되었다.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 에피쿠로스는 모두 자연은 그들이 아토모스(atomos)라고 부른 것, 즉 '분할할 수 없는 개체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에게 자연은 움직이고 있는 이산적인 원자들의 총체였다. 창조주 신이 없었고 영혼의 불멸도 없었고 움직이지 않는 것도 (원자들 자체의 변치 않는 내적 본성은 제외하고는) 없었다. 자연은 벅잡한 조성을 갖고서 움직이고 있는 원자적 물질일 뿐이었다. 그렇..
이언 로우리: 오늘의 서평-유형의 기계와 무형의 기계 유형의 기계와 무형의 기계 Corporeal and Incorporeal Machines ―― 이언 로우리(Ian Lowrie)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학술 텍스트들은 구체적인 것들에 점점 더 관여한다. 그것들은 단순히 사회 또는 문학에 집중하기보다는 "산, 과일, 대기 효과, 핵 탄두, 샌드위치, 자동차, 역사적 사건 [그리고] 유물"..
이안 앵거스: 오늘의 서평-이 폭풍의 진전: 온난화 세계의 자연과 사회 이 폭풍의 진전: 온난화 세계의 자연과 사회 The progress of this storm: Nature and society in a warming world ―― 이안 앵거스(Ian Angus) 현대 녹색 문헌을 읽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연의 종말>> 같은 제목들이 붙은 서적들과 다음과 같은 문장들을 본 적이 있다. ● "자연 같은 것은 존재하지 ..
조지 몬비엇: 오늘의 에세이-벼랑에서 물러서기 벼랑에서 물러서기 Stepping Back from the Brink ―― 조지 몬비엇(George Monbiot) 우리는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고 있다. 여러 해 동안 과학자들은 우리가 지구의 생태적 한계를 돌파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우리는 우리가 기후 파괴와 생태적 붕괴의 와중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지만..
대니얼 핼버슨: 과학, 종교 그리고 세속주의-2부: 이언 바버-갈등 모형 과학, 종교 그리고 세속주의, 2부: 이언 바버-갈등 모형 Science, Religion, and Secularism, Part II: Ian Barbour-The Conflict Model ―― 대니얼 핼버슨(Daniel Halverson) 과학과 종교에 대한 관심의 동시대적 부활에 이름을 결부시켜야 한다면, 그 이름은 거의 확실히 물리학자 이언 바버(Ian Barbour, 1923-2013)라는 ..
대니얼 핼버슨: 과학, 종교 그리고 세속주의-1부: 서론 과학, 종교 그리고 세속주의, 1부: 서론 Science, Religion, and Secularism, Part I: Introduction ―― 대니얼 핼버슨(Daniel Halverson) 인류, 생명의 세계 그리고 우리 우주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그것들은 어떤 종류의 패턴들을 분명히 나타내는가, 그것들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그리고 우리는 그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