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지 몬비엇: 오늘의 에세이-벼랑에서 물러서기


벼랑에서 물러서기

Stepping Back from the Brink


―― 조지 몬비엇(George Monbiot)


우리는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고 있다. 여러 해 동안 과학자들은 우리가 지구의 생태적 한계를 돌파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우리는 우리가 기후 파괴와 생태적 붕괴의 와중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체질적으로 이 지식에 따라 행동할 수 없는 듯 보인다.


합중국은 거대한 생태적 울화의 속박을 풀겠다고 약속한 인간이 선출되었고, 불행하게도 배출해버렸다. 영국 정부는 <<25년 환경 계획(25 Year Environment Plan)>>으로 부르는 150쪽의 환경 친화책을 발표했는데, 지난 25년 동안 동일한 무기력한 실없는 정부들이 발표했다. 항상 그렇듯이, 그것은 몇몇 진영에서"좋은 시작"으로 서술되었다. 어쨌든 어떤 정책도 우리가 직면하는 난제들의 규모에 부합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무엇이 우리의 대응을 차단하는가? 수 년 동안 나는 그 원인이 대기업의 권력과 경제 성장에 대한 공식적 강박―이 힘들이 강력하더라도보다 훨씬 더 깊다고 추측했다. 그런데 내가 지금까지 읽은 가장 심오하고 광범위한 책 덕분에 나는 그것이 무엇일지 이해하기 시작하고 있다고 느낀다.


제레미 렌트(Jeremy Lent)의 <<패턴 형성 본능(The Patterning Instinct)>>이라는 책은 몇 달 전에 출판되었지만 내가 정리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거의 매 페이지가 나로 하여금 내가 참이라고 간주한 것을 재고하게 만들었다. 문화사를 신경과학과 결합함으로써 렌트는 그가 인지적 역사(cognitive history)라고 부르는 새로운 분과학문을 전개한다.


유아기부터 우리 마음은 우리가 성장하게 되는 문화에 의해 형성되는데, 그것은 긴 풀의 들판을 가로지는 통로처럼 우리가 따라가게 되는 오솔길을 만든다. 우리가 이런 의미 패턴들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우리 언어에 묻어 들어가 있는 강력한 뿌리 은유들이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깨닫지 못한 채, 그것들은 우리의 선택을 인도한다.


렌트는 나머지 세계를 지배하게 된 서양 종교 및 과학 사상의 고유한 특징이 인간 문명과 나머지 생명 세계를 붕괴 직전까지 밀어붙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또한 그는, 그것의 은유와 패턴 들을 파악함으로써 우리가 우리 행로에서 벗어나서 벼랑 끝에서 멀어지도록 이끌, 풀밭을 관통하는 새로운 오솔길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우리가 시작할 수 있을 많은 지점이 있지만, 아마도 중요한 것은 플라톤의 사상이 초기 기독교 신학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는 육체에 의해 경험되는 물질적 세계와 분리된 권역에서 존재하는, 영혼에 의해 지각되는 관념적 세계를 제시했다. 물질적 세계 위에 존재하는 순수한 지식에 이르기 위해 영혼은 육체의 감각과 욕망으로부터 격리되어야 한다. 플라톤은 서양 인지의 깊은 프레임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는데, 그 프레임은 추상적 사유 능력을 영혼에 관련시키고, 영혼을 진리에 관련시키며, 진리를 불멸성에 관련시킨다.


몇몇 초기 기독교 사상가, 특히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은유들을 더 발전시켰는데, 인간 육체뿐 아니라 자연 세계 전체가 영혼을 일탈시키고 타락시키는 저주로 여겨지게 되었다. 우리는 내세의 생을 보장하기 위해 현세의 삶을 증오해야 한다.


결국 기독교는 근대 과학적 인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전의 사유 패턴들과 단절하기는 커녕, 자신이 "그것의 전체 본질 또는 본성은 생각하는 것이고 그것의 존재는 어떤 장소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어떤 물질적인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 실체"로 이루어져 있다는 르네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유명한 믿음은 플라톤적 우주론과 기독교적 우주론의 연장인데, 한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데카르트는 영혼을 마음으로 대체했다.


우리의 동일성이 마음에서만 확립된다면, 기독교도들의 단언하듯이, 이성 능력이 없는 우리 육체와 나머지 자연은 어떤 내재적 가치도 없다. 데카르트는 이 점에 관해 명시적이었는데, 그는 "장인에 의해 제작된 기계와 자연만이 구성하는 다양한 육체 사이에" 아무 차이도 없다고 단언했다. 마음 또는 영혼은 신성한 것이었던 반면에 자연 세계는 본유적 가치도 의미도 없었다. 그것은 무자비하게 해부되고 착취당하기 위해 존재했다.


이런 세계관이 우리 생을 전환시킨 놀라운 경이와 편익 들을 가져다준 과학 혁명의 기반을 이루었다. 그러나 또한 그것은 우리가 현재 생명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파국적인 뿌리 은유들을 우리 마음 속에 심었다. 그것들에 속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격리, 인간의 자연 지배, 기계로서의 자연 그리고 더 최근에 소트트웨어로서의 마음과 하드웨어로서의 육체라는 관념들이다.


이런 뿌리 은유들이 여전히 공적 담론을 특징짓는다. 예를 들면,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는 "박쥐는 내부 전자공학이 배선되어 있어서 날개 근육이 벌레로 곧장 나아갈 수 있게 하는 기계이다"라고 주장했다. 박쥐의 복잡성, 자기조직화 그리고 자기지속성을 갖춘 기계가 개발된 적이 있다면, 도킨스 교수는 어디에서 그것을 찾아낼 수 있는지 말해주어야 한다.


내재적 가치를 결여하고 있어야 하는 세계에서, 그런데 많은 사람이 불멸의 영혼 또는 순수한 이성의 신성함에 대한 믿음을 상실해버린 세계에서 우리는 의미의 진공을 직면하게 된다. 우리는 그것을 소비주의의 광란을 채우려고 한다. 우리 행동을 바꾸기 위해서는 우리의 뿌리 은유들을 바꿀 필요가 있다.


이것은 과학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복잡계에 관한 연구는 구성 성분들이 최근까지 거의 상상할 수 없었던 방식들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일련의 자기조직화된 자기재생적 체계들로서의 자연을 드러낸다. 그것은, 위대한 보존주의자 존 뮤어(John Muir)가 주장했듯이, "무언가를 따로 집어들려고 할 때 우리는 그것이 우주의 다른 모든 것에 매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자연과 별개로 서 있거나 그것을 지배할 수 있기는 커녕 우리는 자연 속에 묻어 들어가 있고, 우리가 결코 전적으로 통제할 수는 없는 과정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리는 잠재적으로 우주 자체를 의미의 그물로 간주할 수 있게 되는데, 그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바꿀 수 있을 강력한 새로운 뿌리 은유이다.


이런 통찰들을 실제 정치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할 일이 많이 있다. 그러나 내게는 렌트가, 우리 지식과 심지어 우리 의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여전히 벼랑으로 가는 행로를 따라가는 까닭을 설명한 듯 보인다.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먼저 그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이 "좋은 시작"의 모습이다. 우리는 행로를 바꾸고 나서야 도착지를 바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