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554)
실천의 생태학에 관한 입문적 시론 실천의 생태학에 관한 입문적 시론Introductory notes on an ecology of practices -- 이자벨 스텐게르스(Isabelle Stengers) 2003년 8월 초에 ANU 인문학연구센터 심포지엄을 위해 준비된 이 시론은,  "정치생태학은 공존과 공-생성(co-becoming)을 실천들의 서식지로 가정하는 사회적 소속 기술일 것이다"라는 브라이언 마수미(Brian Massumi)의 명제에 대한 논평으로 여겨질 수 있다. -- 물리학과 그 서식지 그리 단순하지 않은 한 가지 사례로 시작하자. 왜냐하면 그것은 내가 생태학에 관한 이런 관념 -- 과학적 실천들 그리고 더 특정적으로 물리학의 생태학이라는 관념 -- 을 마주치게 된 경로를 따라가기 때문이다. 하나의 실천으로서의 물리학은..
멜라니 미첼: 오늘의 책-인공지능: 생각하는 사람을 위한 안내서 멜라니 미첼(Melanie Mitchell), 『인공지능: 생각하는 인간을 위한 안내서(Artificial Intelligence: A Guide for Thinking Humans)』(2019) 최고의 AI 프로그램은 얼마나 지능적인가? 우리는 AI 프로그램에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맡길 수 있는가? 우리는 인간을 능가하는 AI 프로그램에 관해 얼마나 ..
이사벨 스탕게스: 오늘의 인용-'생태학'의 이중 의미 " 그런 접근법의 이점은, '생태학'이라는 용어가 이중 의미, 즉 '과학적' 의미와 '정치적'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생명체 개체군들 사이의 상호의존성이 무엇이든 간에, 그 접근법은 과학적 생태학의 관심사 및 연구 행위와 연관됨으로써 과학적 의미에서 "생태학적"이라고 ..
애드리언 이바키프: 오늘의 에세이-현대의 과정-관계적 사상 입문 현대의 과정-관계적 사상 입문 Contemporary Process-Relational Thought: A Primer ―― 애드리언 이바키프(Adrian Ivakhiv) "과정-관계적"이라는 용어는 지금까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의 후기 형이상학적 저작과 가장 밀접히 관련되었고, 화이트헤드가 현대의 과정-관계적 사상에 ..
리 스몰린: 인터뷰-우리는 우주의 내부에 갇혀 있다 우주의 내부에 갇혀 있을 때 우주를 이해할 방법 How to Understand the Universe When You're Stuck Inside of It ―― 아만다 게프터(Amanda Gefter) & 리 스몰린(Lee Smolin) 우주는 불가능한 객체의 일종이다. 우주는 내부는 있지만 외부는 없는데, 이를테면 우주는 면이 한 개인 동전이다. 이런 뫼비우스 구조는..
크리스토퍼 A. 푹스: 오늘의 서평-코펜하겐 해석은 논파되어야 하는가? <애덤 베커(Adam Becker)의 『무엇이 실재적인가?: 양자물리학의 의미에 대한 미완의 탐구(What is Real?: The Unfinished Quest for the Quantum Physics)』에 대한 서평> 코펜하겐 해석은 논파당해야 하는가? Copenhagen Interpretation Delenda Est? ―― 크리스토퍼 A. 푹스(Christopher A. Fuchs) "만약 당신이 왕을 친다..
마시모 피글리우치: 오늘의 에세이-리처드 파인만은 과학의 아름다움과 진실에 관하여 틀렸다 리처드 파인만은 과학의 아름다움과 진실에 관하여 틀렸다 Richard Feynman was wrong about beauty and truth in science ―― 마시모 피글리우치(Massimo Pigliucci) 아메리카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다음과 같이 말한 것으로 흔히 인용된다. "진실은 그 아름다움과 단순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구절은 ..
사이토 코헤이: 인터뷰-카를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적 견해 카를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적 견해 - 사이토 코헤이와의 인터뷰 The ecosocialist views of Karl Marx - An interview with Kohei Saito Q: 당신은 『카를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Karl Marx's Ecosocialism)』이라는 책의 서문에서, 오랜 세월 동안 환경주의자들―게다가 심지어 많은 마르크스주의자―이 마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