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철학

(40)
윌리엄 라지: 오늘의 강연-귀납 귀납 - 강연 2 Induction - Lecture 2 ―― 윌리엄 라지(William Large) 지난 주에 과학과 종교 사이의 차이에 관해 언급했다. 그것은 믿음과 사실 사이의 차이로 개념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렇지만, 사실이 무엇인지 더욱 더 탐구할수록, 과학적 탐구의 출발점으로서의 사실의 지위에 대해 ..
마시모 피글리우치: 오늘의 에세이-끈 이론 대 포퍼라치 끈 이론 대 포퍼라치 String Theory vs the Popperazzi ―― 마시모 피글리우치(Massimo Pigliucci) 기초물리학 공동체에 문제가 있다. 철학자들이 도울 수 있는가? 물리학자 리 스몰린(Lee Smolin)이 저술한 대중서의 제목이 공개적으로 서술하듯이, 기초물리학 공동체 내부에 문제가 있다. 해당 문제는 경..
대니얼 핼버슨: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소칼 사건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 XIII: 소칼 사건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XIII: The Socal Hoax ―― 대니얼 핼버슨(Daniel Halverson) 10,000피트에서는 아무도 사회적 구성주의자가 아니다. ―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 인문주의자 무뢰한들의 주장들을 조롱하기 위해서, 소칼과 그의 동지들은...그들 분야..
대니얼 핼버슨: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이언 해킹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 XIV: 이언 해킹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XIV: Ian Hacking ―― 대니얼 핼버슨(Daniel Halverson) "누군가가 X의 사회적 구성에 관해 말할 때, 여러분은 이렇게 물어야 한다. X = 무엇인가?" 이언 해킹(1936 - )은 캐나다인 철학자, 과학사가이자 과학적 실재론의 옹호자이다. <&l..
대니얼 핼버슨: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구성적 경험론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 XI: 구성적 경험론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XI: Constructive Empiricism ―― 대니얼 핼버슨(Daniel Halverson) "우리가 경험 배후에 있는 우리 자신에게 나타내는 것은 우리의 오성 속에서만 존재한다." 바스 반 프라센(Bas van Fraassen, 1941 - )은 프린스턴 대학의 네덜란드 출신 미..
스텐저, 린제이 & 보고시안: 오늘의 에세이-물리학자들도 역시 철학자들이다 물리학자들도 역시 철학자들이다 Physicists Are Philosophers, Too ―― 빅터 스텐저(Victor J. Stenger), 제임스 린제이(James A. Lindsay) & 피터 보고시안(Peter Boghossian) 2012년 4월에 이론물리학자, 우주론자이자 베스터셀러 작가인 로렌스 크라우스(Lawrence Krauss)는 "물리학은 철학과 종교를 쓸모없게 만들..
스티븐 샤비로: 오늘의 서평-코스모폴리틱스 코스모폴리틱스 Cosmopoltics ―― 스티븐 샤비로(Steven Shaviro) 나는 <<코스모폴리틱스>>라는 이사벨 스탕제(Isabelle Stengers)의 위대한 책을 이제 막 다 읽었다[...]. 그것은 [...] 난해하고 함축적인 책이고, 그래서 나는 많은 것을 다시 생각할 수밖에 없다. 이전에 나는 스탕제가 지난 일..
대니얼 핼버슨: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리바이어던과 공기 펌프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 VIII: 리바이어던과 공기 펌프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VIII: Leviathan and the Air Pump ―― 대니얼 핼버슨(Daniel Halverson) 1985에 출판된 <<리바이어던과 공기 펌프(Leviathan and the Air-Pump)>>라는 공저에서 스티븐 섀핀(Steven Shapin)과 사이먼 섀퍼(Simon Schaffer)는, 로버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