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성 (58) 썸네일형 리스트형 마루야마 마사오: 오늘의 인용-번역과 일본의 근대 "'메이지 초기의 번역'이라는 화제를 공시적(synchronic)으로 보면, 일본의 '근대화' 과정과 분리시켜 생각할 수 없다. 서양사회를 모범으로 한 근대화의 전제 중 하나가 광범위한 서양 문헌의 번역이었기 때문이다. 또 이를 통시적(diachronic)으로 보면, 이전 단계인 도쿠가와 시대의 문화를 고.. 스튜어트 카우프만: 에세이-어떤 물리학적 세계관의 종말 - 아래 글은 복잡계 이론가인 스튜어트 카우프만의 에세이 <<어떤 물리학적 세계관의 종말: 헤라클레이토스와 생명의 분기점(The End of a Physics Worldview: Heraclitus and the Watershed of Life)>>을 옮긴 것이다. ――――――――――――――― 어떤 물리학적 세계관의 종말: 헤라클..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