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960)
요한 존: 오늘의 에세이-"자연/본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자연"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리고 "인간 본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What Do We Mean by "Nature"? And What Do We Mean by "Human Nature"? ―― 요한 존(Yohan J. John) 지금까지 나는 항상 '자연'이라는 낱말과 관련된 문제를 품고 있었다. 그것은 다수의 서로 비정합적인 관념들을 가리키는 기표로서의..
필립 고프: 오늘의 인용-물리학의 한계 " 대중의 상상에서 물리학은 실재의 근본적인 본성에 대한 완전한 서술을 제공하는 길로 잘 가고 있다. 과학 혁명 이래로 줄곧 엄밀한 실험 방법이 전개됨으로써 시간, 공간 그리고 물질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지속적인 진보가 가능했다. 물론 갈 길은 멀다. [...] 이런 통상적인 지..
칼튼 클락: 오늘의 인용-정동과 정서 " 지금까지 정동(affect)은 흔히 정서(emotion)와 융합되었지만, 정동은 정서가 아니다. 강도(intensity)로도 알려져 있는 정동은 "항상 의식적 각성에 앞서거나 그것의 바깥에" 있는[...] 반면에, 체계 이론적 견지에서 정서는 의식적으로 관찰 가능하다. 정동은 피부 전도 반응을 통해서 탐지될 ..
필립 고프: 오늘의 에세이-물리학의 철학적 토대 물리학의 철학적 토대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Physics ―― 필립 고프(Philip Goff) 때때로 대중 과학 프로그램들이 갈릴레오가 실험을 행함으로써 세계를 알게 된다는 멋진 생각을 품었을 때 과학 혁명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을 듣게 된다. 그렇지만, 갈릴레오는 실험을 수행한 역사상 ..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에세이-자유주의와 정체성 정치 자유주의와 정체성 정치 Liberalism and Identity Politics ―― 레비 브라이언트(Levi Bryant) [...] [마리카 로즈(Marika Rose)]가 정체성 정치에 대한 좌파의 비판과 관련된 몇몇 난점들에 관한 흥미로운 블로그 글을 올렸다. 그는 이렇게 적고 있다. 때때로 정체성 정치에 대한 비판은 계급이 우선하고 ..
마시모 피글리우치: 오늘의 에세이-생물학적 플라톤주의에 반대한다 생물학적 플라톤주의에 반대한다 Against biological Platonism ―― 마시모 피글리우치(Massimo Piggliuchi) 이 블로그의 제목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나는 내가 "형상"이라는 원래 관념에서 수학적 변양태에 이르기까지 어떤 형태의 플라톤주의도 거부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것은 지금까지 내..
루디 루커: 오늘의 에세이-트랜스리얼리즘 선언 트랜스리얼리즘 선언 A Transrealist Manifesto ―― 루디 루커(Rudy Rucker) 이 글에서 나는 내가 트랜스리얼리즘으로 부르는 과학소설 글쓰기의 한 양식을 옹호하고 싶다. 트랜스리얼리즘은 과학소설의 한 유형이라기보다는 아방가르드 문학의 한 유형이다. 나는 트랜스리얼리즘이 역사상 이 시..
제레미 데이비스: 인류세의 탄생-다섯 가지 격률 다섯 가지 격률 Five Maxims ―― 제레미 데이비스(Jeremy Davies) 첫번째 격률. 인류세 시대는 신파국론(neocatastrophism)적 개념이다. 옥스퍼드 사전이 서술하듯이, 신파국론적 테제는 '지금까지 지질학적 특징들과 살아 있는 유기체들의 진화 및 소멸이 주로 느린 연속적 과정들의 결과라기보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