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니얼 핼버슨: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J.S. 밀과 과학적 방법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 II: J.S. 밀과 과학적 방법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I: J.S. Mill on Scientific Method

 

―― 대니얼 핼버슨(Daniel Halverson)

 

"우리는 그것으로부터 어떤 결과들이 비롯될지 알아내기 위해 무엇이든, 심지어 그릇된 것이라도, 어떤 제안을 함으로써 시작한다. 그리고 이런 결과들이 실제 현상과 어떻게 다른지 관측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가정에서 어떤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지 알게 된다."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은 영국의 정치철학자이자 인식론자였다. 그의 부친인 제임스 밀(James Mill)은 나름대도 존중받는 철학자였고, 자신의 아들을 자신의 족적을 좇도록 양육했다. 그래서 밀은, 선천적으로 그리고 후천적으로, 정신의 삶에 대한 충분한 소양을 갖추고 있었다. 밀은 실망시키지 않았는데, 일반적으로 그는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로 간주된다. 밀은 수학, 논리학, 인식론, 심리학, 윤리학, 자유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과학철학―여기서 다루어지는 주제―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논리학 체계(A System of Logic)>>(1843)에서 밀은 포괄적 법칙 모형(Covering Law Model)이라고 불리는, 그 이후로 과학적 설명에 대한 표준적 서술이 된 것을 제시했다. 밀에 따르면, 과학은 경험 속 규칙적 패턴(법칙)들의 발견과 관련된 것이며, 그리고 어떤 사실에 대한 과학적 설명은 그런 법칙들에 대한 그것의 관계를 정하는 것이다. 이런 법칙들을 탐지하는 경험을 획득함에 따라 우리는 탐구의 어떤 특징들이 다른 특징들보다 발견에 더 도움이 된다는 점을 관찰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법칙들의 발견에 관한 한 가지 법칙―과학적 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이 방법은 일단의 가설들을 만들어내기 위해 추리와 귀납적 이성을 사용한 다음에, 그런 가설들로부터 개연적인 결과들을 도출하기 위해 연역적 이성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우리는 실험을 수행하며, 그리고 실험 결과에 의거하여 우리는 참된 설명에 도달할 때까지 우리 이론들을 소거하거나 개정한다.

 

이 방법은 두 가지 가정에 의존하는데, 하나는 결정론이라는 가정(현상에 대한 발견할 수 있는 어떤 원인이 실제로 존재하며, 그리고 그 현상은 자체가 현시되는 곳에 존재해야 한다고 요구한다)이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한정된 다양성(Limited Variety)이라는 가정(원인은 어떤 식으로 가용 가설들에 묻어 들어가 있다)이다. 이런 가정들은 그것들에 의거하여 이미 발견된 법칙들의 설명적 성공으로부터 사실상 적용 가능하다고 추론될 수 있다. 이전의 발견들에서 확대되고 그것들과 일치하는 각각의 새로운 발견은 이루어진 발견들과 함께 결정론과 한정된 다양성이라는 가정들에 대한 확증을 제공한다.

 

밀은 논리학에 관심을 기울이지만, 과학적 발견들이 논리학에 정초되어야 한다고 믿지는 않았다. 논리학은 우주의 심층적 구조에 묻어 들어가 있으며, 그리고 그 구조는 주로 경험을 통해서 파악되기 때문에 우리는 경험에 부합하는 법칙이 논리적이라는 점을 알고 있다. 상세한 논리를 안출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밀에 따르면, 과학은 두 가지 방식으로 나아가는데, 한편으로 이론들 사이의 간극을 채움으로써 나아가고, 다른 한편으로 이론들의 구조를 재배치함으로써 나아간다. 예를 들면,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물이 어떤 온도에서 끓는지 알 수 있으며, 그리고 그 경험을 어떤 기본 원리 속에 집어 넣는다. 그렇지만, 공기 압력이 물이 끓는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기를 바란다면, 우리는 끓는 과정 자체의 본성과 공기 압력에 관한 부가적인 이론들을 동원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관측에 관한 더 일반적인 설명은 이론들의 더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기본 이론들을 만들어내는 것은 우리 지식에서 "간극을 채우는 것"에 관한 문제이다. 이런 이론들이 서로 대립하는 듯 보인다면(예를 들면, 중력에 대한 뉴턴의 설명과 아인슈타인의 설명 사이의 대립), 우리의 구조적 배치에 결함이 존재한다고 합당하게 추론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결함을 찾아내어 고치는 것이 과학적 탐구의 목적이 된다. 그러므로 이론들의 참된 정확한 구조는 아무 간극도, 그리고 아무 대립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과학적 탐구에 대한 밀의 설명은 후속 세대에서 나타난 논리실증주의와 반증 이론 둘 다에 대한 토대를 형성했다. 그것은 과학적 발견에 대한 표준적 설명이었고, 여전히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