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지타 카말: 오늘의 에세이-자연주의에 관하여

 

자연주의: 과학적, 철학적, 그리고 사회정치적 자연주의

Naturalism: Scientific, Philosophical and Socio-Political

 

아지타 카말(Ajita Kamal)

 

모든 것은 자연 법칙들로 설명될 수 있다는 관념은 철학 자체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자연주의와 초자연주의는 실재를 바라보는 가장 근본적인 두 가지 방식 사이의 분할을 구성한다. 신이나 비물질적인 영혼을 믿지 않는 사람은 자연주의자다. 그 경계선이 흐려지는 영역들이 존재하며, 무신론자들이 특정한 비자연주의적 믿음을 견지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실재를 바라보는 그 두 가지 방식 사이의 분리는 잘 유지된다. 초자연적 주장들을 거부하는 행위는 고대 인도의 차르바카(Carvaka) 학파와 고대 그리스의 유물론 철학자들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이런 전통은 현재까지 이어졌고 분석되었으며 상이한 형식들로 성문화되었다. 이해하기 가장 단순한 것은 자연주의에 대한 철학적 규정이다. 그래서 이것부터 시작하자.

 

철학적 자연주의(philosophical naturalism)는 자연이 존재하는 전부라는 관념이다. 형이상학적 자연주의로도 알려진 이것은 모든 초자연적인 것들을 철저히 거부한다. 겉보기에 초자연적인 상황이 존재할 때에도 형이상학적 자연주의는 그것에 내재하는 자연적 설명이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인간의 모든 지식은 그런 자연주의적 이해에서 비롯된다. 철학적 자연주의가 훼손될 때 지식은 벽에 부딪친다.

 

훌륭한 일례는 뉴턴과 행성 궤도의 문제이다. 우주에서 이전에 발견되지 않은 힘들과 그 당시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많은 물리학의 법칙들을 서술한 <<프린키피아>>의 굉장한 작업 후에 뉴턴은 곤경에 처했다. 그의 태양계 모형은 행성들이 왜 태양에 빨려 들어가지 않는지 설명할 수 없었다. 자연주의적 의문들을 제기하고 그것들에 답하며 인류에게 과학에서 가장 위대한 영감들 가운데 몇 가지를 제공한 후에 뉴턴은 마침내 초자연주의적 "설명"을 제시했다. 그는 행성들의 운동이 제대로 진행되도록 신이 개입해야 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이것은 정말 설명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자. "신이 그것을 했다"고 말하는 것은 그것이 마법처럼 일어났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그런 뛰어난 사유에도 불구하고, 존재하지 않는 초자연적인 것을 불러내었기 때문에 뉴턴은 그 문제를 풀 수 없었다. 100년이 지난 후에 라플라스가 자연주의적 의문들만 제기함으로써 그 문제를 풀었다는 사실은 유명하다. [...]

 

덜 독단적인 입장은 방법론적 자연주의(methodological naturalism)로도 알려진 과학적 자연주의(scientific naturalism)다. 방법론적 자연주의는 자연주의적 방법이 우리 인간들이 우주를 이해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상정한다. 정의상 그것은 비자연주의적 존재자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인간들로서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도구들은 자연적 존재자들만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인식론적 주장(지식의 본성과 획득에 관한 주장)이다. 정교한 체계적인 과정으로서의 과학적 방법은 우리가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 소유하는 도구들을 연마한 긴 역사의 정점에 이른 것이다. 그것은 자연주의라는 철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과학적 자연주의는 모든 현상에 대해 자연적 원인들이 있다는 가정 아래 가설이 형성되고 시험받기를 요구한다.

 

사회정치적 형태들

 

현대의 자연주의 운동은 자연주의적 철학에 뿌리박고 있는 사회정치적 운동이다. 현재 형식의 자연주의 운동은 비교적 현대적인 운동이다.  [...] 자연주의 운동에 관여하는 많은 사람들은 몇몇 회의주의자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의문시하지 않은 채 믿고 있는 비자연적 주장들을 직접 의문시하기 시작했다. 이것들 가운데 주요한 것은 반(反)인과적 자유의지에 대한 믿음이다(이것은 자연적 원인이 없으며 스스로 제어할 수 없는 인간의 행위주체성에 대한 믿음인데, 그것은 마음의 기능에 관한 이원론적 관념을 불러일으키고 자연의 인과적 규칙에 초자연적 예외를 부여한다). 톰 클라크(Tom Clark)는 이것을 '작은 신'이라고 부르는데, 많은 무신론자들도 의심하지 않는 것이다. [...]

 

종교적 자연주의(religious naturalism)는 자유사상 공동체 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운동이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종교적 언어와 결합된 과학적 자연주의다. 자체의 지성적 거장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어슐러 굿이너프(Ursula Goodenough)을 자랑으로 여기는 이 운동은 범신론자들의 다양한 공동체를 포함한다. 종교적 자연주의는, 인간 역사의 대부분 동안 사회적 질서와 실천들은 종교에 의해 강화되었다는 지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조직화된 종교들에 의해 초래된 거대한 고통에도 불구하고 종교의 몇몇 사회적 측면들은 일반적으로 사회에서 요구되는 어떤 역할을 수행했다. 종교적 자연주의자들은, 초자연적 종교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세계의 종교들로부터 어떤 실천들과 언어를 채택하여 그것들에 실재에 관한 자연주의적 관념들을 편입시켜야 한다고 믿는다. 종교적 자연주의자들이 자연주의을 편입시키고자 노력하는 종교의 성질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적 응집과 자연에 대한 신비롭고 은유적인 외경이다. 칼 세이건(Carl Sagan)을 종교적 자연주의자라고 부를 사람도 있을 것이다. [...]

 

마지막으로, 문화적 자연주의(cultural naturalism)는 인간의 행동을 형성하는 사회적 및 정서적 상태들과 자연적 세계에 관한 사실들을 조화시키는 과정이다. 자연적 세계에 관한 사실들은 과학을 통해서 우리에게 가장 잘 드러난다. 본질적으로, 문화적 자연주의는 자연주의적 사실들을 인간의 사회 생활의 맥락 속에 위치시킴으로써 인간의 정서를 과학적 사실들과 조화시키려고 하는 시도이다.

 

비자연적 개념들은 두 가지 유형―객관적인 초자연적 주장들과 체험적 사실들(체험적 사실들은 사람들이 정서적으로 그리고 의식적으로 체험하는 관념들이다)―이 있다. 비자연적 개념이 과학의 영역(자연적 세계)을 침범하지 않는 한 그것은 체험적 사실이다. 체험적 사실들은 정서적인 뇌 상태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재에 관한 객관적인 주장들을 제시하지 않는다. 이것들은 문화적 자연주의 아래 수용될 수 있는 믿음(예를 들면, 사랑)들이다. 어떤 다른 비자연적 개념들은 실재의 본성에 관한 객관적인 주장들을 제시한다. 이것들은 체험적 사실들이 아니라 객관적인 초자연적 주장들이며, 문화적 자연주의 아래 수용될 수 없다. 문화적 자연주의는 앞에서 서술한 기준을 사용하여 문화적으로 전달되는 공통 관념들을 탐구한다.

 

지적인 동물들에서 정서는 자발적인 뇌 기능에 대한 제어 메커니즘으로 진화되었다. 우리의 정서적 상태들은 체험적 사실들이다. 우리의 뇌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외부 데이터와 내부 데이터를 해석한다. 수법은 객관적 진실을 훼손하지 않는 필요한 체험적 사실들은 채택하고 훼손하는 체험적 사실들은 거부하는 것이다. 수천 년 동안 인류는 이 문제와 씨름했다. 엄밀히 말해서, 과학적 자연주의는 인간의 문화에 속속들이 스며 있는 체험적 사실들에 관심이 없다. 이것은 과학 자체를 벗어나는 철학[특히 현상학]의 영역임에 틀림없다. 이 지점이 문화적 자연주의가 들어오는 곳이다.

 

예를 들면, 사랑은 체험적 사실이다. 사랑의 근본적인 물질적 원인들은 과학적으로 설명되지만, 사랑[이라는 감정] 자체는 관찰자의 외부에 존재하지 않는다. 즉, 사랑은 주관적이다. 문화적 자연주의라는 철학은 사랑이라는 인간의 감정과 그 속에 사랑이라는 관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객관적 실재를 조화시킨다. 이것은 그 어떤 객관적인 초자연적 주장들도 제시하지 않는 사랑에 관한 정의에 대해 필요한 조건을 이룬다. "신"은 관찰자 외부의 자연적 세계에 대한 객관적인 진리 주장들을 제시하는 초자연적 개념이다. 그러므로 "신"은 체험적 사실로 수용될 수 없으며 문화적 자연주의의 틀에서 거부당한다. 그 어떤 객관적인 초자연적 주장들도 제시하지 않는 한 모든 도덕적 가치들은 체험적 사실들이다. 반인과적 자유의지라는 이상은 실재에 관한 진리 주장들을 제시하기 때문에 수용 가능한 체험적 사실이 아니다.

 

그러므로 문화적 자연주의는 과학적 자연주의와 자연주의의 모든 사회정치적 형태들의 혼합물이다. 그것의 영향은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인간의 행동에 의해 변화되는 문화를 겨냥한다. 그것의 목적은 종교적 자연주의의 목적(종교를 그저 무신론이나 회의주의가 아니라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자연주의적 철학으로 대체시키는 것)과 매우 흡사하다. 그런데, 자연적 사실들을 증대시키고 원시 종교들에 의해 제공되는 사회적 편익들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기 위해 언어를 찬탈하는 것에 덧붙여, 문화적 자연주의는 정치적 및 사회경제적 대화를 비롯한 인간 노력의 모든 영역을 겨냥한다. 그것은 실재에 대한 자연주의적 이해를 승인하는 사람들의 가장 일반적인 생활철학이다. 본질적으로, 문화적 자연주의는 자연주의적 철학이 인간의 사회적 삶과 만나는 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