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재론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첼소 비에이라: 오늘의 에세이-과정인가 아니면 사물인가? 무엇이 더 근본적인가: 과정인가 아니면 사물인가? When is more fundamental: processes or things? ―― 첼소 비에이라(Chelso Vieira) 형이상학은 실재의 구성 요소들을 검토함으로써 현존이 작동하는 방식, 심적 존재자와 물리적 존재자 사이의 구별짓기 그리고 존재와 실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들을 .. 아부 파먼: 오늘의 에세이-정보적 우주론들과 내재성의 불안들 정보적 우주론들과 내재성의 불안들 Informatic cosmologies and the anxieties of immanence ―― 아부 파먼(Abou Farman) 나는 내재론적 사유의 계보에 속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내재론적 견해에 해당할 것을 제시하는 두 가지 가망이 없는 설명을 통해서 내재성에 관해 생각하고 싶다. 나는 이것들을 내재..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에세이-내재적 관계와 외재적 관계 내재적 관계와 외재적 관계 ―― 레비 브라이언트(Levi Bryant) 사변적 실재론(speculative realism)에 관한 논의들에서는 상관주의(correlationism), 즉 세계를 사유와 별개로 생각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에 관한 논의들을 둘러싸고 많은 글이 작성되었지만, 객체지향적 틀 안에서는, 내가 보기에,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