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랭 핑켈크로트: 오늘의 인용-윤리로서의 사랑

 

"

수많은 말들 중에서 주는 행위와 받는 행위, 자비와 탐욕, 자선과 소유욕을 동시에 의미하는 낱말이 하나 있다. 사랑이라는 말이다. 자기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모든 것 중에서, 어떤 존재가 갖게 되는 격렬한 욕망과 무조건적인 헌신이 같은 어휘 안에 역설적으로 담겨 있는 것이다. 우리는 자기를 염려하는 마음의 극치를 일컬을 때에도, 또 타자를 생각하는 마음을 일컬을 때에도 모두 사랑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그러나 누가 아직도 무사무욕을 믿고 있는가? 누가 무상의 행위를 진짜로 존재한다고 생각하는가? 근대의 동이 터오르면서부터, 도덕을 논하는 모든 계파들은 어느것을 막론하고, 무상은 탐욕에서, 또 숭고한 행위는 획득하고 싶은 욕망에서 유래한다는 설명을 하고 있다. 자기 포기란 한결같이 자기 자신을 위해서 하는 것이며, 아낌없이 줄 수 있는 이유는 보상 때문이고, 모든 관대함은 상징적이나마 은밀한 만족감을 동반한다. 요컨대 주는 행위는 모두 타자를 지배하고 소유하려는 제국주의적인 욕구의 일환이다. 우리는 무의식중에 모든 증여는 포식이며,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은 영리적이라고 생각한다. 또 우리가 명석이라고 부르는 것은, 헌신의 외양 아래 감추어진, 그 아래에 숨어서 도처에 편재해 있는 자기 중심성의 현실을 드러내는 행위이다. 있는 그대로의 인간이란 남에게 주는 마음이 별로 없는 존재이다. 종교적이거나 도덕적인 규범이 제거된, 오로지 사실에만 집착하는 실증적인 사고는 사랑이란 점유 본능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사랑은 모든 사람에게 편재하는 탐욕과 각자 자기만을 위해서 군림하는 자기 중심성과 무사무욕의 가치를 대립시키는 사상이다. 즉 이웃 사랑이란 인간이 으레 지니고 있어야 할 모습, 또는 역사가 그 억압적 과거를 백지상태로 만들고 난 후에 인간이 분명히 취하게 될 모습을 규정한다.

 

통찰력을 지니려는 배려에서 이러한 분열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우리가 이웃에 대한 사랑을 이상적인 영역으로 내쫓는다고 해서, 현실을 더 잘 생각한다는 법은 없다. 오히려 우리는 타인과의 원초적인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또 그것에서 출발하여 사랑의 감정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 대한 미움의 감정까지도 이해하기 위해서, 유행에 뒤진 이 개념, 소유의 이야기와는 또 다른 이야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

―― 알랭 핑켈크로트(Alain Finkielkraut), <<사랑의 지혜>>(권유현 옮김, 동문선, 1998), pp. 3-4.